부동산 공부 또는 뉴스를 보면 한번씩 나오는 단어죠. LTV, DTI, DSR 읽어도 무슨뜻인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LTV, DTI, DSR 뜻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쉬운설명 드립니다~ 부동산(주택, 아파트, 상가, 토지 등)을 사기위해 돈이 부족한 경우 은행에서 대출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은행은 나에게 무엇을 믿고 돈을 빌려줄까요? 은행에선 내가(개인이)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한 후 돈을 빌려주게(대출한도가 나오게) 되는데요. 대출한도를 정할 때 필요한 것이 LTV, DTI, DSR 입니다. LTV (Loan대출 to Value가치 Ratio비율) : 주택담보인정비율 대출에는 크게 신용대출과 담보대출이 있는데요. 담보대출 중 주택매입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
전세보증금 지켜주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역전세, 깡통전세라는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역전세는 내가 전세 살 당시보다 현재 전세가가 떨어진것을 말합니다. 전세가가 떨어졌기 때문에 집주인이 새로운 전세자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받아도 나가는 세입자에게 줄 돈이 모자라게 되는것이죠. 보통 전세를 끼고 집을 매입한 경우 이런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런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깡통전세란 전세가가 아닌, 매매가가 떨어져 집을 팔더라도 전세보증금보다 적게 회수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흔히 하우스푸어라고 하죠. 과도한 빚을 내 집을 산 경우 이에 해당 하는데요. 이럴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세입자가 안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한 안전장치로 실거주+전입신고+확정일자의 3가지를 갖출경우 대항력에 대해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요. ☞ 전..
저번 포스팅에서 대항력을 가지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대항력있는 임차인이란? / 전세 대항력 대항력있는 임차인이란? / 전세 대항력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규정된 임차인(세입자)의 권리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1. 대항력 2. 우선변제권 ##### 3. 최우선변제권 ##### 그 중 오늘은 대항력 banner-king.tistory.com 대항력의 조건(이사+전입신고+확정일자)에 대해 알았다면 실행에 옮겨야 겠죠. 1. 이사(실거주)를 마쳤다면 2. 전입신고를 하고 (동사무소 방문 or 인터넷으로 가능) 3. 확정일자 받기 (동사무소 방문 or 인터넷으로 가능) 하면 끝입니다. 위 3가지는 이사당일 하시는게 좋아요~ 이번에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는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오프라인으로 해당기관(동사..
대항력있는 임차인이란? 전세 대항력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규정된 임차인(세입자)의 권리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1. 대항력 2. 우선변제권 ##### 3. 최우선변제권 ##### 그 중 오늘은 대항력에 대해 알아봅니다. ■ 대항력이란? 세입자가 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기 전까지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되는 권리를 말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세입자가 임대인(집주인)이나 매수자(새로바뀐 주인)에게 계약기간의 보장과 계약기간 종료 후 보증금의 반환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대항력 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이사 후 전입신고를 하지만 전입신고를 하지않을 경우에는 전세계약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가 어렵고 전세계약기간 중 집이 경매나 공매로 소유권이 넘어가는 경우 세입자가 이곳에 거주중이라는 임차권을 주장할 만한것이 없..
오늘은 부동산 매매 잔금시에 필요한 서류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부동산에서 챙길 필요가 있지만 매도인, 매수인도 한번 체크해 보면 좋아요. 매도인 , 매수인 각자 필요한 서류에 대해 알아보고 주의해야 할 사항을 알아볼께요. 드디어 내 집을 마련하여 잔금을 치르는 날, 기쁜마음으로 필요서류들을 빠짐없이 챙겨서 잘 마무리 하도록 합시다. 부동산 매매 잔금시 필요서류 1. 매매계약서(원본) 2. 신분증 3. 주민등록등본 1통 4. 도장 (막도장 가능) 5. 잔금 치를 돈(계좌이체, 현금, 수표 등) * 공동명의시 신분증, 등본, 도장은 각자 준비합니다. 1. 매매계약서(원본) 2. 신분증 3. 주민등록초본 1통 (이전주소 포함 / 주민번호 뒷자리 나오게) 4.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