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검사 기간 자차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정기적으로 자동차 검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자동차 구입 후 최초 자동차등록을 마친 후 4년이 지나면 첫번째 검사를 하고 그 이후 2년에 한번씩 정기검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합니다. 영업용이나 화물용 자동차는 1년에 한번씩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검사의 목적은 안전한 차량운행을 위해 불법개조 및 튜닝을 방지하고 운전자가 모를수 있는 차량의 결함등을 발견하기 위해서 의무적으로 실시하게 하기때문에 자동차 소유자라면 필히 해야 하는 검사입니다. 자동차검사 주기 자동차검사 유효기간은 정기검사 만료일 기준으로 앞뒤 31일 입니다. (정기검사 만료일이 10월 30일이면 10월 30일 전후로 각각 한달씩 여유가 있는거니 총 2달 정도의 검사기간이 있는 셈이죠) ..

부동산 취득의 개념 취득의 정의 자산의 취득이란 매매, 교환, 상속, 증여, 기부, 법인에 대한 현물출차, 건축, 개수, 공유수면의 매립, 간척에 의한 토지 조성등과 회원권, 이용권 등도 포함됩니다. 승계취득한 권리는 전의 권리의 제한 및 하자를 승계하나, 원시취득의 경우 그렇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지상권, 지역권, 전세권, 저당권등의 설정등 입니다. 취득의 유형 *시효취득 무권리자가 일정기간 점유하면 재산을 취득하게 되는 민법상의 제도입니다. [항공기,기계장비,차량 : 제조, 조립]은 과세대상에서 아예 제외가 되고 [광업권, 어업권 : 출원]은 과세는 있으나 면제됩니다. 항공기,기계장비,차량 : 제조, 조립에 대해 과세를 부과하지 않는 이유는 제조사는 자신들이 생산한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취득세를 부..

자동차를 구매할때 취득세를 내신 경험들이 있으실 거예요. 우리가 어떤 물건을 취득(구매)했을때는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오늘은 부동산을 사고 팔 때 내는 세금이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부동산은 크게 3가지 시점으로 구분하여 세금이 부과됩니다. 1. 취득세 (살때) 2. 보유세 (가지고 있을때) 3. 양도소득세 (팔때) 입니다. 1. 취득세 - 부동산 취득시 내야하는 세금 취득세는 일정한 자산(부동산, 차량, 기계장비, 항공기, 선박, 어업권, 각종회원권 등) 의 취득이 있을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관련 부가세(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가 포함되어 부과되는데 이를 모두 통칭하여 취득세라 합니다. * 관련 부가세(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외에도 정부가 발행하는 인지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인지세..

취득세란? 집이나 상가, 아파트 등의 부동산을 매입했을때 취득한 자산에 대해 해당 시,도에 내는 지방세를 말합니다. 취득세는 매매뿐 아니라 상속, 증여, 신축, 증축시에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취득세 납부기한은? 취득날로부터 60일 이내이며 상속으로 인한 취득시에는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는 법정신고기한까지 신고하지 않는 경우 납부해야 할 세액의 20%에 해당하는 신고 불성실 가산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 취득세율? 현행 주택에 대한 취득세는 무상취득(상속,증여) / 유상취득(매매,경매) / 원시취득(신축,증축,보존)이냐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참고로 취등록세란 '등록세'는 부동산을 등기, 등록할때 부과되는 조세이고 '취득세'는 취득시 내는 세금으로 이 둘을 합쳐부르는 말이..

부동산 매입 후 등기이전 신청할때 등기접수는 매입한 부동산의 관할 등기소에서 해야 합니다. 내 지역(집) 관할 등기소 찾기 방법은 간단합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인터넷등기소라고 검색 후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www.iros.go.kr 에 들어갑니다. 서비스소개 - 등기소찾기 로 들어갑니다. 내가 매입한 부동산 주소가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이면 부동산 소재지로 찾기에서 신림동이라고 적고 검색하면 해당 주소지의 관할 등기소가 나옵니다. 지도로 찾기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인터넷으로 간단히 조회가 가능하니 셀프등기 또는 경매입찰시 부동산 관할등기소 찾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부동산 셀프등기하는 방법 ↓↓ https://banner-king.tistory.com/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