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취득의 개념 취득의 정의 자산의 취득이란 매매, 교환, 상속, 증여, 기부, 법인에 대한 현물출차, 건축, 개수, 공유수면의 매립, 간척에 의한 토지 조성등과 회원권, 이용권 등도 포함됩니다. 승계취득한 권리는 전의 권리의 제한 및 하자를 승계하나, 원시취득의 경우 그렇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지상권, 지역권, 전세권, 저당권등의 설정등 입니다. 취득의 유형 *시효취득 무권리자가 일정기간 점유하면 재산을 취득하게 되는 민법상의 제도입니다. [항공기,기계장비,차량 : 제조, 조립]은 과세대상에서 아예 제외가 되고 [광업권, 어업권 : 출원]은 과세는 있으나 면제됩니다. 항공기,기계장비,차량 : 제조, 조립에 대해 과세를 부과하지 않는 이유는 제조사는 자신들이 생산한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취득세를 부..
취득세란? 집이나 상가, 아파트 등의 부동산을 매입했을때 취득한 자산에 대해 해당 시,도에 내는 지방세를 말합니다. 취득세는 매매뿐 아니라 상속, 증여, 신축, 증축시에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취득세 납부기한은? 취득날로부터 60일 이내이며 상속으로 인한 취득시에는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취득세는 법정신고기한까지 신고하지 않는 경우 납부해야 할 세액의 20%에 해당하는 신고 불성실 가산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 취득세율? 현행 주택에 대한 취득세는 무상취득(상속,증여) / 유상취득(매매,경매) / 원시취득(신축,증축,보존)이냐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참고로 취등록세란 '등록세'는 부동산을 등기, 등록할때 부과되는 조세이고 '취득세'는 취득시 내는 세금으로 이 둘을 합쳐부르는 말이..